
해군은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와 관련해 ‘함정용 해양 방사능 측정 장비’를 도입한 후, 9개월 간 566건 중 10건의 ‘이상을 측정했다.
기준을 초과한 세슘 MDA(측정 가능한 최소 방사능 수치)를 세 차례 검출했으며, 이외 7건을 장비 고장으로 판단했다. 하지만 해군은 ‘이상 측정치’를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 등에 알리지 않았으며, 해당 장비를 교체하지도 않았다. 이 같은 사실은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공개한 국감 자료에서 확인되었다.
박찬대 의원실에 따르면 해군은 지난해 12월부터 지난달 25일까지 우리나라 주변 바다에서 총 566건의 해양 방사능 측정을 했고 이 중 10번에 걸쳐 ‘이상 측정값’이 나왔다.
반면 해군은 모두 측정 오류로, 방사능 핵종 검출 사례가 없다고 의원실에 답했다. 사례로 지난 1월 8일 세슘-134가 세계보건기구(WHO) 음용수 기준치(10Bq/L)의 2배인 20.87Bq/L로 측정되자, 해군은 측정 장비 생산 업체에 검수를 의뢰했다. 업체는 운용프로그램 오류라고 답했고, 해군은 측정값을 MDA 이하로 변경했다.
또 1월 9일과 14일에도 각각 8.81 Bq/L, 9.67 Bq/L의 세슘-134가 측정됐고, 해군은 프로그램 오류로 판단해 최종값을 수정했다. 이에 대해 의원실은 생산 업체뿐 아니라 전문가를 통해 면밀한 검증이 필요했다고 지적했다.
박 원내대표는 “해군의 해양 방사능 측정 임무가 ‘보여주기식 행정’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 측정값을 전문기관과 공유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민간 업체와 정부 차원의 검증을 병행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시민언론 들꽃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