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은 21일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3차 변론에 출석해 “계엄 선포 전 여러 선거 공정성에 대한 신뢰에 의문이 드는 것들이 있었다”라며 “선거가 부정이어서 믿을 수 없다는 음모론을 제기하는 게 아니라 사실을 확인하자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부정선거 자체를 색출하라는 게 아니라 선관위의 전산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점검할 수 있으면 해보라고 했던 것”이라고도 했다.
이는 윤의 “부정선거 증거 너무 많다”라는 기존 주장을 부정하는 것이다. 윤석열은 지난 15일 공개한 자필 편지에서 “부정선거의 증거는 너무나 많다”, “음모론으로 일축할 수 없다”, “엄청난 가짜 투표지가 발견됐다”, “총체적인 부정선거 시스템이 가동됐다” 등의 강한 표현을 써가며 부정선거를 주장했다. 이런 음모론식 주장은 국민의힘과 탄핵 반대세력의 중요한 주장이 되어왔다.
윤석열은 국회에 군을 투입한 것도 계엄 표결을 방해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군인들이 그대로 나오지 않았냐며 “국회와 언론은 대통령보다 강한 ‘초갑’”이라고 주장했다. 최상목 기획재정부 장관이 윤 대통령에게 받았다고 한 ‘비상입법기구 예산 편성 쪽지’에 대해선 “준 적 없다. 계엄 해제 후 기사에서 봤다”라며 전달 사실을 부정하는 등 불리한 사실을 전면 부인했다.
윤석열은 수많은 진술과 증거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책임을 모면하기 위해 거짓으로 일관했다. 계엄의 중요한 이유로 제시했던 ‘부정선거론’을 부정해 자신의 지지자들마저도 배신했다.
시민언론 들꽃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