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0 (목)

  • 흐림동두천 8.6℃
  • 흐림강릉 10.9℃
  • 서울 10.9℃
  • 구름많음대전 13.8℃
  • 구름조금대구 13.8℃
  • 구름조금울산 11.1℃
  • 구름많음광주 13.2℃
  • 구름많음부산 13.4℃
  • 맑음고창 9.9℃
  • 맑음제주 14.3℃
  • 흐림강화 7.6℃
  • 구름많음보은 12.8℃
  • 흐림금산 13.0℃
  • 흐림강진군 10.8℃
  • 구름많음경주시 9.6℃
  • 구름많음거제 13.5℃
기상청 제공

노동

목숨을 거는 ‘심야 배송’ 정말 필요한가?

 

‘쿠팡 택배노동자 고 정슬기님과 함께하는 기독교와 시민사회 대책위원회’는 4일 서울 송파구 쿠팡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쿠팡 로켓배송과 야간노동 폐지를 촉구했다.

 

정승기 씨는 쿠팡의 배송 계열사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 남양주 2캠프에서 지난해 5월 과로사했다. 근로복지공단 조사 결과 정 씨는 사망 전 12주간 일주일 평균 73시간 21분을 일했다. 고용노동부의 ‘뇌혈관 질환의 업무상 질병 인정 기준’인 일주일 평균 60시간을 초과한 것이다.

 

정 씨 사망 이후 지난해 9월 기독교와 시민사회 구성원들이 모여 유가족과 함께하는 대책위를 발족했다. 재발 방지 대책을 요구하며 수개월간 릴레이 1인 시위 등 투쟁을 이어왔다. 국민동의청원 5만명을 달성해, 지난 1월엔 쿠팡 청문회가 개최됐다.

 

대책위는 입장문에서 “대책위에 속한 기독인들과 시민사회단체는 함께 모여 기도하고 활동하는 가운데 죽음을 막고 노동자 생명과 건강을 지킬 수 있는 변화와 희망의 씨앗을 발견했다”며 “이제 우리는 일터에서 일어나는 어떤 불의에도 간과하거나 침묵하지 않고 노동자가 차별받지 않고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세상을 위해 연대의 끈을 단단히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대책위는 “개선책과 약속들이 얼마나 신실하게 잘 지켜지는지 똑똑히 지켜볼 것”이라며 “쿠팡이 노동자 생명과 안전을 위해 내놓는 재발방지책이 제대로 실효성 있게 진행되길 촉구한다”고 밝혔다. 또한 “로켓배송과 심야노동이 근원적으로 폐지돼야 한다”며 “로켓배송과 심야노동은 소비자 편의를 증진시킬지 모르지만, 노동자 건강을 치명적으로 해치고 죽음으로 몰아넣고 있다는 것은 이미 의학적으로, 실제적으로 증명됐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 씨의 초등학생 딸이 ‘대한민국의 빨리빨리 문화와 쿠팡의 로켓배송이 아빠를 데려가 버렸다’고 한 말을 전했다.

 

대책위 고문 박득훈 목사는 쿠팡을 향해 “유가족 합의로 면죄부를 받았다고 착각하지 말라”며 “다시는 과로사로 노동자가 죽는 일이 없도록 기존의 반노동 체제를 완전히 뜯어고쳐라”고 주문했다.

 

강민욱 택배노조 쿠팡본부준비위원회 위원장은 “청문회가 끝난 지금, 달라진 것은 없다”며 “여전히 쿠팡 택배노동자는 혹독한 노동조건 그대로 일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쿠팡 노동자를 육체적·정신적으로 압박한 이른바 클렌징 제도가 시급한 개선 대상으로 꼽힌다. 클렌징 제도는 대리점이 배송 목표 항목을 충족하지 못하면 쿠팡 CLS가 배송 구역을 회수하는 것을 이른다. 가령 클렌징 항목 중 하나인 프레시백 회수율 요건을 맞추기 위해 노동자는 이집저집을 뛰어다니며 건당 수수료가 100~200원에 불과한 프레시백을 거둬야 하는 것이다.

 

강 위원장은 “이런 현실 때문에 쿠팡 노동자는 여전히 고용불안 속에 과로하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시민언론 들꽃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