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국회 국회운영위원회 국정감사는 여당 의원들의 고성과 의사진행발언으로 소란스럽게 시작됐다. 여당 의원들은 마치 국정감사의 정회를 노리는 듯했다. 그러나 위원장은 이를 허용하지 않았다.
소란스러운 분위기에 진행된 국정감사는 전날 더불어민주당이 공개한 2022년 5월 9일 윤석열-명태균 통화 관련 질문이 주를 이뤘다. 그리고 대통령실은 대통령의 발언을 변호하기 위해 억지 주장을 계속했다.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은 명태균 씨와 윤석열 대통령의 녹취록에 대해 ‘덕담’이었고 윤 대통령 부부와 관련된 모든 지적이 ‘법적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윤석열 대통령 : 공관위(공천관리위원회)에서 나한테 들고 왔길래 내가 김영선이 경선 때부터 열심히 뛰었으니까 그거는 김영선이를 좀 해줘라 그랬는데 말이 많네 당에서…
명태균 : 진짜 평생 이 은혜 잊지 않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민주당 윤종군 의원은 질의를 통해 “대통령실은 경선 이후(2021년 10월 8일) 명 씨와 윤 대통령이 문자를 주고받은 적 없다고 했다. 그런데 (경선 이후 통화 내용이 나오니) 대통령실 입장이 녹취록 공개 이후 '중요한 내용이 아니었다'고 바뀌었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정 비서실장은 “대통령실은 경선 이후 윤 대통령과 명 씨가 교류하거나 접촉한 적이 없다는 것이다. 이게 거짓말이라고 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해명했다.
민주당 노종면 의원의 “녹취록 전체를 공개하면 될까?”라는 질문에는 정 비서실장은 답변을 못했다.
민주당 이소영 의원의 “대통령실이 잘못된 해명을 한 것이 아니냐?”라는 질문에도 정 비서실장은 “취임식 전날 온 전화를 어떻게 다 기억하냐. 대통령실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했으니 사과할 일은 아니다”라고 답했다.
대통령실은 5월 9일 통화 내용을 두고도 '당시 윤 당선인은 공관위로부터 보고 받은 적 없다'고 해명했다.
이 의원은 "녹취록을 보면 윤 대통령이 명 씨에게 '공관위에서 나한테 들고 왔다'고 말한다"며 "대통령실이 납득할 만한 해명을 내놔야 하지 않겠냐"고 따졌다.
정 비서실장은 이에 적반하장으로 "거짓말로 단정 짓지 마라"면서 "이 의원의 개인적인 관점이다. 선거는 여러 사람이 도와주기도 하고 민원도 있는데, 그 정도의 덕담"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당 전용기 의원이 김건희 씨의 국정 개입을 두고 추궁하자, 정 비서실장은“대통령이 정치를 안 하는 사람이라 다소 부족해 보일 수 있다는 것은 인정한다”라고 했다.
개혁신당 천하람 의원은 “대통령실의 답변을 보면 지지도가 60% 정도는 되는 줄 알겠다”라며 “대통령실이 이렇게 하니 지지율이 19%가 나오는 것 아니냐”라고 말했다. 이에 정 비서실장은 “천 의원이 명 씨를 더 잘 알지 않냐. 개혁신당 지지율이나 신경 쓰라, 사과할 일 아니다”라고 답해 국정감사장이 소란스러워졌다.
정 비서실장은 시종일관 윤 대통령과 명 씨가 통화한 것은 축하 전화를 피하지 못해 어쩔 수 없이 한 것 뿐이라고 했다. 반면, 내부신고자 강혜경 씨는 “명 씨는 윤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 김건희 씨와 쭉 연락했다”고 증언했다.
한편 이날 국감에서는 김건희 씨와 명태균 씨를 강제로 구인하기 위한 동행명령장 발부를 두고도 여야가 극한으로 대립했다.
대통령의 목소리라는 확실한 물증 앞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대통령실의 방어가 궁색한 자리였다.
시민언론 들꽃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