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화)

  • 흐림동두천 17.2℃
  • 흐림강릉 13.5℃
  • 서울 18.8℃
  • 대전 17.0℃
  • 대구 14.6℃
  • 울산 16.1℃
  • 광주 18.4℃
  • 부산 16.3℃
  • 흐림고창 18.2℃
  • 흐림제주 20.7℃
  • 흐림강화 15.9℃
  • 흐림보은 15.4℃
  • 흐림금산 16.9℃
  • 흐림강진군 18.8℃
  • 흐림경주시 16.3℃
  • 흐림거제 17.9℃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쿠데타 옹호 정당 국민의힘 105명 역사에 박제되다.

이들은 헌정질서와 민주주의를 파괴한 12·3 쿠데타를 용인함으로써, 국헌을 문란하게 한 내란 수괴 윤석열이 대통령으로서 통치행위를 이어갈 수 있도록 방조한 것이다. 이로써 ‘위헌정당’ 책임론이 거세질 것이다.

12·3 쿠데타를 일으킨 내란 수괴 윤석열의 탄핵 소추안이 지난 7일 자동폐기됐다.

 

당시 국민의힘 국회의원 108명 중 김상욱·김예지·안철수 등 국민의힘 의원 3명은 표결에 참석했지만, 105명은 국회 회의장을 떠났다. 윤석열 탄핵안은 총 투표수 195표로 의결정족수 재적의원 3분의 2(200명)에 미치지 못해 '투표 불성립'으로 자동 폐기됐다.

 

야당 의원들이 "돌아오라"며 국민의힘 의원들의 이름을 일일이 호명하고, 국회를 에워싼 100만 명의 촛불 시민들이 표결에 참석할 것을 촉구했지만, 이들은 끝끝내 민심을 외면했다.

 

이들은 헌정질서와 민주주의를 파괴한 12·3 쿠데타를 용인함으로써, 국헌을 문란하게 한 내란 수괴 윤석열이 대통령으로서 통치행위를 이어갈 수 있도록 방조한 것이다. 이로써 ‘위헌정당’ 책임론이 거세질 것이다.

 

시민사회에서는 위헌 행위에 동조한 국민의힘은 ‘위헌정당’으로 해산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관련해 각 언론사가 1면에 이들의 명단을 박제하고 있다.

 

 

 

 

 

그리고 국민의힘의 당 홈페이지에서는 국회의원의 사진이 사라졌다. 그들은 자신의 사익과 정파적 이익을 위해 국회의원으로의 헌법수호라는 근본적인 의무를 외면한 것을 스스로 알고있는 것이다.

 

시민언론 들꽃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