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한국경총은 ‘2024년 상반기 규모 및 업종별 임금인상 현황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상반기 상용직 월평균 임금인상률은 2.2%로 지난해 상반기(2.9%)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00명 미만 사업체는 3.1% 올랐지만 300명 이상 사업체는 –0.2%로 뒷걸음질했다.
임금인상률 둔화는 특별급여 감소가 주된 원인이다. 상반기 기본급 등 정액급여는 월평균 353만 7천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11만 8천원(3.5%) 인상했다. 반면 성과급 등 특별급여는 월평균 50만 9천원으로 같은 기간 3만 1천원(-5.7%) 줄었다.
사업체 규모별로는 300명 미만 사업체 인상률은 3.1%였지만, 300명 이상 사업체는 0.2% 감소했다. 이에 따라 300명 이상 사업체 대비 300면 미만 사업체의 임금수준은 지난해 상반기 60.1%에서 올해는 62.1%로 올랐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조사대상 17개 업종 중 유일하게 월평균 임금총액이 감소(-0.2%)했다. 광업(6.2%), 전기·가스·증기업(5.9%), 운수업(5.0%)은 인상률이 높은 업종으로 분석됐다.
한편 노동부에 따르면 올 상반기 물가수준을 반영한 노동자 한 명당 월평균 실질임금은 354만 3천원으로 1년 전 355만 8천원과 비교해 0.4%, 1만 5천 원 감소했다. 윤석열 정부 집권후 매년 실질임금이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최근 우리 경제는 수출이 양호함에도 불구하고, 임금 상승으로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건설 등 내수 회복이 여전히 지연되고 있어 서민경제의 악화가 지속되고 있다.
시민언론 들꽃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