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윤석열 탄핵심판 증인으로 출석한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특전사령관)은 ‘윤 대통령이 증인에게 데리고 나오라고 한 대상이 국회의사당에 있는 의원이 맞느냐’는 질문에 “정확히 맞다”고 답했다.
또한 ‘의원이 아닌 요원을 끌어내라는 지시’와 ‘질서유지 목적이었다’라는 윤석열 측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의결정족수”에 대한 얘기가 있었기 때문에 “분명히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상황”이라는 게 곽 전 사령관의 분명한 주장이다.
곽 전 사령관은 윤으로부터 받은 지시에 대해 “아직 의결정족수가 채워지지 않은 것 같다. 빨리 국회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안에 있는 인원을 끄집어내라”가 정확한 지시였다고 증언 했다.
곽 전 사령관은 “당시 상황이 (특전사 예하) 707특수임무단 인원이 본관으로 가서 정문 앞에서 대치하는 상황이었고, 본관 건물 안쪽으로는 인원이 안 들어간 상태”라며 “본관 안에 작전 요원이 없어서 당연히 국회의원이라고 생각하고 이해했다”라고 상황을 설명했다.
또한 곽 전 사령관은 윤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의 지시를 받고 마이크가 켜진 상황에서 참모진, 현장 지휘관 등과 향후 대응을 논의하는 과정이 예하 부대 전 인원에게 “라이브로 생방송 됐다”고 설명했다. 여기서 “대통령 지시”라는 말이 나왔다고 했다. 관련한 증인이 많음을 시사했다.
윤 측은 곽 전 사령관의 진술이 바뀌고 있다고 몰아붙였다. 특히 “당초 국회로의 병력 충돌은 시설 확보 및 질서 유지였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곽 전 사령관은 “지금 말한 질서유지 이런 부분들을 계획하거나, 비상계엄 실시 중에 ‘질서유지’라는 말을 들은 적 없다. 다 (비상계엄 이후에) 들었다”고 선을 그었다.
윤 대통령 측이 ‘문을 부수고서라도 들어가란 건 누구로부터 들었냐’는 질문에 “그건 대통령이 말한 것”이라고 증언했다.

증인신문이 끝난 뒤 발언 기회가 주어지자, 윤석열은 지금의 상황을 “공작”이라고 주장했다. 윤석열은 “제가 그제, 오늘 상황을 보니, 12월 6일 홍장원 전 국정원1차장의 공작과 12월 6일 특전사령관이 김병주 TV에 출연부터 내란 프레임과 탄핵 공작이 시작된 것으로 보여진다”며 “다짜고짜 전화해서 의결정족수 안 되게 막아라, 끄집어내라 이런 지시를 어떤 공직사회에서 상하 간에 가능한 얘기인지, 재판관이 상식선에서 이 문제를 들여다봐 주길 바란다”라고 변명했다.
이날 곽 전 사령관의 증언으로 국회 침탈 사건 중 윤석열의 책임을 확인할 증인이 다수임이 확인되었다.
시민언론 들꽃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