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경찰청은 박현수 행정안전부 경찰국장(54)이 신임 서울경찰청장으로 발령했다. 윤석열 정부 들어 승승장구한 ‘용산 출신 친윤 경찰’이 내란 가담 의혹에도 경찰의 핵심 요직에 발탁된 것이다. 12·3 내란사태로 대통령 이하 국무총리, 국방부 장관 등 줄줄이 궐위 상태가 된 공직 가운데 처음으로 자리가 채워지는 것이다.
박 국장이 치안정감으로 승진한 과정부터 투명하지 않다. 치안정감은 경찰청장(치안총감) 바로 아래 계급으로 경찰 내 ‘2인자’다. 전국에 경찰청 차장을 비롯해 서울·부산·경기남부·인천경찰청장과 경찰대학장 등 6개 자리가 있는데, 통상 치안정감 임기를 1년 이상 보장하는 관행을 고려하면 모든 자리에 당분간 인사 수요가 없는 상태였다. 이는 12·3 내란사태로 김봉식 전 서울청장이 구속되면서 ‘뜻밖의 공석’이 생긴 뒤에야, 박 국장이 치안정감 승진 후보자로 낙점됐다.
대통령과 행안부 장관, 경찰청장 등이 모두 ‘대행 체제’인 상황에 이례적인 인사권 행사다. 경찰 내부에서는 “이번 인사는 박 국장이 대통령실 민정수석과 같이 만든 것”이란 말이 전해진다.
경찰 내부는 박 국장이 비상계엄 선포된 당일 국회 봉쇄와 체포조 지원 등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는 데도 인사가 강행된 데 대해 우려하는 분위기다. 경찰 내부에서는 ‘내란 특검법이 통과되면 신임 서울청장도 수사 대상이 되는 게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일선의 경찰은 “군대와 경찰이 내란의 공범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에선 고위직 인사를 안 하는 게 맞았다”며 “내란 특검법이 통과되면 지금 서울청장도 수사 대상이 되겠다”고 비판하고 있다.
대통령과 행안부 장관, 경찰청장 등이 모두 ‘대행 체제’인 상황에 무리한 인사권 행사라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이번 인사에는 대통령실 의중이 강하게 반영됐다는 풀이도 나온다. 대통령실이 다음 대선까지의 ‘상황 관리’를 위해 ‘서울청장 자리에 현 정부와 협조적 관계인 인사를 앉히고 싶어했다’고 전해진다.
서울청의 한 경찰은 “인사청문을 해야 하는 경찰청장을 세울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니 서울청장이라도 용산 출신을 들이려고 한 것으로 보인다”며 “대선까지 상황 관리를 해야 한다는 의지였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국장이 자신을 비롯한 ‘용산 출신들’의 승진에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행안부 경찰국장의 업무가 행안부 장관의 인사 관련 보좌이기 때문이다. 경찰 내부에서는 “이번 인사는 박 국장이 대통령실 민정수석과 같이 만든 것”이란 말이 공공연히 돈다. 이어질 총경 등 승진 인사도 윤 대통령과 친한 인사를 위한 것이란 뒷말이 전해진다.
이와 관련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오는 18일 긴급 현안 질의를 위한 전체 회의를 열고 박 국장을 포함한 승진 예정자들을 불러 인사 과정 등을 따져 묻겠다는 계획이다.
시민언론 들꽃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