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은 25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최후 변론했다.
윤석열은 상당 부분을 야당 비난에 할애했다. 윤석열은 대통령 퇴진 집회를 문제 삼으며 “북한의 지령대로 된 것 아닌가”라고 주장했다. 예산안 삭감과 관련해서도 “도대체 누구의 지시를 받아 핵심 예산만 딱딱 골라 삭감했는지 저도 궁금할 지경”이라고 음모론을 제기했다. 자신의 비상계엄과 국회의 예산 삭감과 법안 처리를 비교하며 “어느 쪽이 상대의 권능을 마비시키고 침해하는 것이냐”라며 억지 주장을 했다.
이어 비상계엄 선포는 “절체절명의 위기를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는 절박함”이었으며, “국가와 국민을 위한 계엄”이라고 주장했다.
국회에 계엄군을 투입한 이유로 “비상계엄을 선포하는 과정에서 거대 야당의 국회 독재가 망국적 위기를 초래했다고 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국회로 몰려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현실 인식에 큰 문제가 있어보이는 주장으로 보인다.
윤석열은 탄핵 기각 후 국정 복귀와 개헌 의지를 드러냈다. 윤석열은 “87체제를 우리 몸에 맞추고 미래 세대에 제대로 된 나라를 물려주기 위한 개헌과 정치개혁 추진에 후반부를 집중하려 한다”라며 “잔여 임기에 연연해하지 않고 개헌과 정치개혁을 마지막 사명으로 생각해 87체제 개선에 최선을 다하고 싶다”라고 했다.
마지막으로 윤석열이 사과한 대상은 서부지법 폭동 사태를 일으킨 청년들이었다. 윤석열은 “저의 구속 과정에서 벌어진 일들로 어려운 상황에 처한 청년들도 있다”라며 “옳고 그름에 앞서서 너무나 마음이 아프고 미안하다”라고 말했다.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은 선고 일정은 “재판부 평의를 거쳐 추후 고지하겠다”라고 밝혔다.
시민언론 들꽃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