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직후 계엄군은 국회를 침입했을 뿐만 아니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점거했다. 그리고 의외로 전방 지역인 ‘양구군청’을 점거한 것이다.
3일 밤 10시 23분쯤 용산 대통령실에서 긴급 브리핑을 열고 비상계엄령을 선포했다. 그리고 20여분이 지난 후 밤 10시 50분쯤 육군 21사단은 양구군청에 전화를 걸어 “CCTV관제센터와 군경합동상황실을 점거하겠다”고 통보했다.
21사단 군사경찰대대 관계자 및 교훈참모 등 6명은 다음날인 4일 새벽 0시 10분쯤 군청에 출입해 CCTV관제센터와 군경합동상황실을 점거했다.
이후 국회에서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이 가결되자 군경합동상황실을 점거하고 있던 21사단 교훈참모 등 4명은 새벽 1시 48분쯤 군청에서 철수했고, CCTV관제센터에 있던 군사경찰대대 관계자 2명도 2번에 걸쳐 군청에서 철수했다.
지역 주민들은 불안감에 밤잠을 설쳤다. 비상계엄령이 선포된 직후 접경지역인 인제 서화면에서는 비상대기를 알리는 사이렌과 급히 복귀하는 군인들의 모습들을 쉽게 볼 수 있었다.
계엄군은 왜 계엄이 떨어지자마자, 계엄사령관이 임명되기 50분 전, 왜 ‘양구군청’을 점거했을까? 이와 관련한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관련해 국회 장악으로 계엄 해제를 막은 후 접경지역에서 국지전을 펴 비상사태를 지속하는 가운데 선관위를 통제하면서 부정선거를 빌미로 재선거를 감행했을 개연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들은 전쟁을 도발하고 전쟁이라는 상황에서 선거 승리로 정권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개헌을 통해 윤석열 체제를 강화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최악의 지지로 실각위기에 빠졌던 이스라엘의 ‘네탄 야후’와 우크라이나 ‘젤렌스키’가 전쟁으로 극적인 지지율 회복을 이루고 임기를 연장한 것을 벤치마킹한 것으로 보인다.
윤석열은 김용현 국방장관 후임으로 최병혁을 지명했다. 그는 대선 당시 “선제타격 잘못된 주장이 아냐”라는 호전적 인물이다.
윤석열 일당의 반란 작당은 계속되고 있다.
시민언론 들꽃 편집부